안녕하세요. 완성도 높은 앱을 만들기 위해 항상 연구하는 흐름입니다.
지난 번에 스토리보드를 보면 결과물 예상과 의도 전달이 쉽다고 알려드렸습니다. 그럼 스토리보드를 활용했던 프로젝트를 한번 볼까요?
스토리보드(화면설계서)
화면 구성 이미지와 그 안에 들어가는 기능과 동작을 설명한 설계도.
이미지 영역 (왼쪽) : 앱 화면 이미지.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보여줍니다.
상세 설명 (오른쪽) : 기능과 동작 설명 글
버튼이나, 글자 등 어떤 요소가 들어가는 지, 어떤 기능이 있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페이지는 어떻게 이동하는지 상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원하는 결과물의 모습을 개발에 필요한 언어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장점과 기능 : 결과물 예측, 개발 안정성이 높아짐.
이렇게 페이지별로 이미지와 기능을 같이 보기 때문에
비전문가도 어느 정도 원하는 바를 예상할 수 있게 됩니다.
기획서를 바탕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디자인합니다.
수정 협의 사항
그런데 기획서를 한번 만들면 그대로 끝나는 것일까요?
제작을 진행하면서는 수정사항과 변수들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럴 때는 상호 협의하여 수정을 하게 됩니다.
실제 기획 진행 과정
그런데 저희에게 개발을 의뢰하시는 분들은 비전문가가 많으십니다.
기획서의 형식에 맞지 않더라도 할 수 있는 선에서 자신이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문서로 만들어 오십니다.
그 문서와 의도를 미팅을 통해서 듣고
저희가 다시 개발 가능한 방식으로 표현된 기획서를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기획에 대해 잘 모르시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획서를 가지고 계신 클라이언트와 작업 시에는 받은 기획서를 바탕으로 개발에 들어갑니다.